인상깊은 구절이나 핵심 위주로 정리함
사용자가 쉽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제품과 서비스를 디자인하자.
디자인이란?
직관적이고 의미있는 질서를 부여하는 과정 (Victor Papanek)
인간 중심의 디자인
•
제품 사용자의 요구, 동기, 정황을 이해하는 과정
•
사업 측면과 기술 측면의 요구사항과 제약, 시장 기회를 파악하는 과정
•
이 두 가지 요소와 이해를 바탕으로 기능이 훌륭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도 높고, 경제와 기술 면에서도 성공적인 제품을 디자인하는 과정
형편 없는 제품 동작의 결과
버릇 없는 디지털 제품
사용자를 비난하는 제품 → 불쾌한 경험을 유발한다.
디지털 제품이 엉터리인 이유
•
잘못된 우선순위
◦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구현과 QA 이전에 인터랙션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
사용자의 니즈에 대한 무지
•
이해관계의 충돌
◦
개발자와의 이해 관계 충돌..
•
디자인 방법론의 부재
◦
사용자를 이해하는 방법론이 없었다. (기획팀과 개발팀에 비해)
•
인터랙션 디자인
◦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예쁘게 만들자가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이해와 인지과학에 바탕을 둔 방법론을 활용
사용자의 목표
목표와 과업
목표 : 사용자가 이루고자 하는 기대치
과업, 업무 : 사용자가 목표를 성취하려고 밟아가는 중간 과정
업무는 여러 고업으로 구성, 과업은 다수의 액션이 구성, 액션은 세부 기능 조작이 구성.
디지털 소프트웨어 디자인에는 과업 중심 디자인이 적절하지 않음 (Donald Norman)
→ '어떤' 행동을 사용자가 보이는지, '어떤' 인터랙션을 선택했는지는 보여주지만, '왜' 이런 행동을 취했는지, '왜' 이 과업과 업무를 환료하려고 하는지는 설명하지 않음
정황을 고려한 디자인
쉬운 인터페이스가 최고인가?
콜센터에 전화를 거는데 일일히 설명을 다 들어야 한다면?
훌륭한 디자인은 스스로 멍청하다고 느끼지 않는 것, 사용자의 생산성을 지향
사용자가 누구인지, 사용자의 목표가 무엇인지, 왜 그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멘탈 모델과 구현 모델, 표현 모델
구현 모델 : 프로그램이 구현된 방식, 인터페이스
멘탈 모델 : 사용자가 이해하는 방식
→ 구현 모델과 멘탈 모델의 거리를 좁히기는 어렵다.
표현 모델 : 디자인 표현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능을 전달 (디자이너 모델)
→ 표현 모델이 멘탈 모델에 가까워야 좋은 디자인이다.
목표 지향 디자인 프로세스
사용자와 디자인을 연결해주는 효과적인 연결고리
리서치와 디자인 연결고리
•
제품을 결정짓는 디자인
◦
제품의 본질은 결정하는 핵심 요소
•
디자인 == 연구원
◦
소프트웨어의 겉모습을 치장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때와는 달리 디자인은 제품의 본질을 결정짓는다.
◦
디자이너는 스스로 리서치 연구원의 자세를 배워 리서치에 참여해야함.
•
리서치와 디자인 사이의 공백
◦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론 필요
디자인 프로세스
•
리서치
◦
사용자를 이해하는 자료 수집
◦
에스노그라피의 Field Study 방법론이 유용
▪
사용자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질의응답 인터뷰로 정황을 파악하는 방법론
◦
사용자를 관찰하고 인터뷰하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
사용자 모델
◦
행동 패턴과 목표를 결합해 퍼소나를 제작한다.
◦
퍼소나는 관리자와 개발자가 디자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
요구사항 도출
◦
사용자 모델과 디자인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
퍼소나를 분석해서 퍼소나가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생각한다.
◦
퍼소나를 분석하면서 사용자 시나리오를 조금씩 수정한다.
◦
시나리오는 퍼소나의 하루 일상에서 시작한다.
◦
사업 측면의 목표와 브랜딩, 기술 구현 가능성도 생각해야 한다.
•
디자인 설계
◦
제품의 구체적인 컨셉 결정
◦
제품의 기본적인 기능과 인터랙션 결정
◦
시나리오 바탕의 인터랙션 설계
▪
인터랙션 디자인 원칙
▪
인터랙션 디자인 패턴
▪
Service Map과 Blueprint를 만듦
◦
인터랙션이 어느정도 되면 몇가지 인터페이스 시안을 만든다
▪
제품의 브랜딩과 인터페이스 구조를 깊이 이해해야함
•
수정
◦
Key Path Scenario, Validation Scenario를 활용해서 스토리보드에 문제가 없는지
◦
그래픽 요소 확인
◦
실제 조작 가능한 프로토타입 제작
◦
디자인 문서 제작
•
관리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
사용자는 누구인가?
2.
사용자가 무엇을 성취하고자 하는가?
3.
사용자가 스스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4.
어떤 종류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5.
제품이 어떤 식으로 동작해야 하는가?
6.
제품이 어떤 모습을 갖춰야 하는가?
7.
사용자가 어떻게 제품과 상호작용하는가?
8.
제품의 기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9.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 친근한 제품을 디자인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0.
제품의 기술을 바탕으로 이해와 조작이 쉽고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1.
제품을 사용하면서 접하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12.
제품을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도 쉽게 이해하고 목표를 빠르게 달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3.
전문 사용자에게도 충분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