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현재 설치된 홈브루가 x86용인지 ARM용인지 확인하자.
$ where brew
brew: aliased to arch -x86_64 /usr/local/bin/brew
Shell
복사
이런식으로 나오면 x86 Homebrew 이다. (aliased라고 나오지 않아도 /usr/local/bin 에 설치되어있으면 x86용이다.)
먼저, Terminal 앱이 Rosetta를 이용하여 돌아가고 있는지 확인한다.
위처럼 체크 해제 되어있어야 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Shell
복사
위 명령어를 이용해 ARM Homebrew를 설치해주자.
arch -x86_64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sh)"
Shell
복사
위 명령어를 이용해 x86 Homebrew를 설치해주자.
.zshrc 나 .bashrc 등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주자.
export PATH="/usr/local/bin:$PATH"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alias ibrew='arch -x86_64 /usr/local/bin/brew'
alias brew='arch -arm64e /opt/homebrew/bin/brew'
Shell
복사
이제 ARM Homebrew는 그냥 brew 명령을, x86 brew는 ibrew로 실행할 수 있다.
x86용 Homebrew와 x86 Terminal 을 계속 써왔는데, 이젠 ARM 최적화된 프로그램과 바이너리등도 점점 많아져서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